일본 총무성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총무성(総務省,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약칭: MIC[3][4] )은 중앙성청의 하나. 한국의 행정안전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 및 우정 분야)에 해당한다. 단, 한국과 달리 일본의 총무성은 경찰청을 외청으로 두지 못하고 있다. 패전 전 고등경찰의 횡포와 폐해가 심각했기에 전후 GHQ가 경찰을 정권으로 부터 독립시켰고 현재는 총리나 내각도 직접적인 통제가 불가능하게 국가공안위원회[5] 라는 합의제 기구를 통한 지휘만 가능하게 제도화되어 있다. 물론, 고도의 자치경찰로 설계된 제도를 50년대 자민당정권에서 경찰법을 날치기로 통과시켜 사실상 내각이 통제 가능하기는 하다. 내각부 소속으로 한국으로 치면 국무총리실 소속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즉 '경찰청'보다는 '경찰처'와 비슷할 수도 있다라고 쓰여져 있지만, 내각관방의 직할 부서가 아니기에 적절한 설명은 아니다.총무성은 행정의 기본적인 제도의 관리 및 운영을 통한 행정의 종합적이고 효율적 실시의 확보, 지방 자치의 본지의 실현 및 민주 정치의 기반 확립, 자립적인 지역 사회의 형성, 국가와 지방 공공 단체 및 지방 공공 단체 상호 간의 연락 협조, 정보의 전자적 방식의 적정하고 원활한 유통의 확보 및 증진, 전파의 공평하고 능률적인 이용의 확보 및 증진, 우정 사업의 적정하고 확실한 실시의 확보, 공해에 관한 분쟁의 신속하고 적정한 해결, 광업, 채석업 또는 모래 채취 사업과 일반 공익 또는 각종 산업 조정 및 소방을 통한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를 도모하는, 다른 행정 기관의 소관에 속하지 않는 행정 업무 및 법률(법률에 근거한 명령을 포함)에서 총무성에 속하게 된 행정 사무를 수행할 것을 임무로 한다. - '''총무성 설치법 제 3조'''
아베 신조 총리의 집권 연장에 따른 새 내각 구성에 따라서 2018년 현재 총무대신은 이시다 마사토시다.
2001년 중앙성청개편에 의해 총무청, 우정성, 자치성을 통합해 창설되었다. 행정조직, 공무원제도, 지방행재정, 선거, 소방방재, 정보통신, 우정사업, 통계 등 국가의 기본적인 구조에 관한 여러 제도, 국민의 경제・사회생활을 지지하는 기본적인 시스템을 관장하며, 국민생활의 기반에 넓게 퍼져있는 행정기능을 담당한다. '총무성'이라는 이름은 전후 명칭 변경을 강요받던 내무성에서 고안된 이름이기도 하다.
국가행정조직법 별표 제1에서는 총무성이 각 성의 필두에 놓여 있으며, 각료 명부에 있어서도 원칙적으로 총무대신은 내각총리대신 다음에 놓인다.
일제 시절 전신인 내무성은 관청 중의 관청이라 불릴 정도로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 무소불위의 권력을 장악했다. 내무성의 관할범위는 지방관청 관리, 경찰, 토건 사업 및 타 성의 전속이 아닌 모든 분야 등 광범위했으며, 재정감독권과 토건사업계획을 무기로 지방 관청을 통제하였을 뿐 아니라, 지방관청의 장은 내무관료 출신으로 임명되었다. 뿐만 아니라 경찰권과 국가신도 관리 역시 내무부의 소관이었기 때문에 전전 내무성은 군부와 함께 일본 제국주의 체제유지의 선도기관으로 활약하였다.
그러나 종전 후, 이러한 내무성의 막강한 권한을 위험하게 여긴 GHQ에 의해 내무성은 해체의 운명을 겪게 되었다. 직계인 일본 총무성[6] 을 비롯해, 일본 경찰청, 국토교통성, 후생노동성[7] 등을 구 내무성계 관청이라고 하며, 전후에도 한동안 이들 관청 간 인사 교류가 활발했다. 그밖에도 내무관료 출신들을 중심으로 육상자위대 고위 간부 조직이 결성되었는데, 육상자위대의 내무관료 출신 인사를 내무군벌이라는 용어로 따로 지칭하기도 한다. 그리고 관청 중의 관청이라는 타이틀은 전후 경제발전을 앞장서서 이끈 대장성이 승계하게 된다.
2. 역사
주1) 전기통신성은 1952년 일본전신전화공사로 공기업화되었으며, 1985년 민영화되어 現 NTT로 이어지고 있다.
주2) 우정성의 우편사업은 2003년 일본우정공사로 공사화되었고, 2007년 일본우편주식회사로 민영화됐다.
3. 역대 대신
4. 소속 기관
- 조직
- 총무 대신
- 총무 부대신
- 총무 대신 정무관
- 총무 대신 보좌관
- 총무 사무 차관
- 총무 심의관
- 총무 대신 비서관
- 내부부국
- 대신관방
- 비서과
- 총무과
- 회계과
- 기획과
- 정책 평가 홍보과
- 행정 관리국
- 행정 평가국
- 자치 행정국
- 자치 재정국
- 자치 세무국
- 국제 전략국
- 정보 유통 행정국
- 종합 통신 기반국
- 통계국[9]
- 정책 총괄관
- 심의회
- 지방 재정 심의회
- 행정 불복 심사회
- 독립 행정 법인 평가 제도 위원회
- 국가·지방 계류 처리 위원회
- 전기 통신 분쟁 처리 위원회
- 전파 감리 심의회
- 연금 심사회
- 정책 평가 심의회
- 정보 통신 심의회
- 정보 통신 행정·우정 행정 심의회
- 국립 연구 개발 법인 심의회
- 통계 위원회
- 관민 경쟁 입찰 등 감리 위원회
- 정보 공개 및 개인 정보 보호 심사회
- 시설, 기관
- 자치 대학교
- 정보 통신 정책 연구소
- 통계 연구 연구소
- 특별 기관
- 중앙 선거 관리회
- 정치 자금 적정화 위원회
- 지방 지부국
- 관구 행정 평가국
- 종합 통신국
- 홋카이도 종합 통신국 : 홋카이도
- 동북 종합 통신국 :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 칸토 종합 통신국 : 이바라키현, 토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치바현, 도쿄도, 카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신에츠 종합 통신국 : 니가타현, 나가노현
- 호쿠리쿠 종합 통신국 : 토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 도카이 종합 통신국 :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칸사이 종합 통신국 : 시가현, 쿄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와카야마현
- 추고쿠 종합 통신국 : 톳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 시코쿠 종합 통신국 : 토쿠시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 고치현
- 큐슈 종합 통신국 :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쿠마모토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카고시마현
- 오키나와 종합 통신 사무소 : 오키나와현
- 공해등조정위원회
- 일본 소방청
5. 관련 문서
민영화가 되었다지만 원래 총무성 산하의 공기업이었으므로 제법 강력한 지배하에 놓인다.
[1] 내각부 부대신 겸임[2] 내각부 대신정무관 겸임[3] 영어표기는 처음에는 "Ministry of Public Management, Home Affairs, Posts and Telecommunications"였으나, 너무 길다는 이유로 2004년 9월부터 지금의 표기로 바뀌었다. 한국의 행정자치부도 비슷한 이유로 영문명이 간소화되었다.[4] 참고로 구 정보통신부(지금의 방송통신위원회)도 이 약자를 썼다.[5] 5인의 합의제기구로 내각대신은 1명만 포함되고 나머지는 민간의 인사가 기용된다.[6] 자치청, 자치성을 거쳐 총무성[7] 다른 관청과 달리 태평양 전쟁 와중에 먼저 분리.[8] 재임명[9] 한국의 경우 통계청이 외청으로 독립되기 이전부터 기획재정부의 전신인 경제기획원 산하의 국이었던 것과 달리, 일본의 통계국은 한국의 행정안전부와 같은 총무성 산하로 편제되어 있다.